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03

우주 (宇宙, Universe) 에 대하여 - 은하 (2) 은하의 형태와 분류 은하는 20세기 대표 천문학자인 에드윈 허블이 주장한 은하의 형태 분류 체계인 허블 시퀀스에서 제시한 허블소리굽쇠도 (Hubble tuning fork diagram) 를 근거로하여 크게 세가지의 형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그 형태는 시각적인 은하의 모양만을 가지고 분류하였으며, 크게 타원형, 나선형, 불규칙형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그리고, 허블 소리굽쇠도에서는 은하의 종류를 타원 은하인 E, 나선 은하인 S, 막대 나선 은하인 SB 로 상세히 분류하고있습니다. * 타원 은하 타원 은하는 허블 소리굽쇠도의 E 분류 체계에서 원모양 (E0) 에서 찌그러진 원모양 (E7)까지 세분화되며, 모두 타원체의 형태이기때문에 어느 방향에서 관찰을 하더라도 타원형의 모습이 관측이 됩니다. 이 타원은.. 2023. 6. 25.
우주 (宇宙, Universe) 에 대하여 - 은하 (1) 은하(Galaxy, 銀河) 란? 은하란 항성, 별의 잔해, 가스, 먼지,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 헤아릴 수 없는 많은 물질이 거대한 중력에 의해 묶여 이뤄진 천체 무리이며, 수백조에 이르는 별과 행성들로 구성됩니다. 은하의 어원 은하라는 단어의 어원은 태양계를 포함하고 있는 우리 은하인 "은하수"에서부터 유래된 단어로 "마치 젖이 흐르는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은하수"를 이미하는 "갈락시아스"라는 그리스어 단어가 그 어원입니다. 이 단어의 기원은 그리스 신화에 나와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제우스가 어린 헤라클레스를 불사신으로 만들기 위해 여신 헤라가 잠든 사이 그녀의 젖을 물렸습니다. 헤라는 잠에서 깨어나 자기가 모르는 아이에게 젖을 물려주고 있다는 것을 알고 아기를 밀쳐내게 됩니다. 이 과정에.. 2023. 6. 25.
우주에 대하여 - 인공위성 인공위성의 용어는 인공적으로 행성 주위를 회전하도록 만들어진 물체를 뜻하며, 오늘날 이 인공위성은 지구에서 로켓을 이용해 대기권 밖으로 엄청난 숫자가 쏘아 올려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목적으로 쏘아진 인공위성은 우리 지구 주위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운동하며 우리에게 다양한 혜택을 나눠주고 있는데, 오늘 인공위성의 탄생부터 다양한 활용 분야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인공위성의 탄생 2. 인공위성의 종류 3. 인공위성의 활용 1. 인공위성의 탄생 인공위성은 본래 소설 속에서 먼저 등장했습니다. 스구루이 작가가 1945년에 발표한 The Exploration of Space 작품에서 지구 주위를 돌며 정보를 수집하고, 우주 탐사를 하는 인공위성에 대한 아이디어가 제시됐습니다. 이.. 2023. 6. 24.
우주 (宇宙, Universe) 에 대하여 - 허블 망원경 천문학의 중요한 도구 - 허블 망원경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은 현대 천문학의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우주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세밀한 영상들을 제공하는 우주 망원경 중 하나로 1990년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의해 발사되어 현재까지 우주의 많은 것을 관측해 낸 장비입니다. 허블 망원경의 탄생 허블 망원경의 탄생은 천문학자 라이먼 스피처가 주장한 우주 천문대의 중요성(논문명 : Astronomical advantage of an extraterrestrial observatory)에 대해서부터 시작됩니다. 그가 주장은 우주 천문대가 갖는 두가지 이점인데, 첫 번째는 지상의 망원경의 한계는 0.5 ~ 1.0초의 분해능이 한계인 것인 반면, 우주망원경은 이론적으.. 2023. 6. 23.
우주 (宇宙, Universe) 에 대하여 - 천문학 천문학이란 ? 천문학 (天文學, astronomy) 은 우주를 포함하여 별, 행성, 혜성, 그리고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갖는 자연 과학입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해 온 학문인 천문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문학의 역사 * 고대시대 고대 왕국이 번창했던 시대 (오리엔트 시대, 기원전 약 50 세기 ~ 7세기) 에는 농사와 제사를위해 달력 만들기, 별자리 그리기 등의 기술이 발생했으며, 천체의 현상의 신화화하여 해석하는 신화적, 주술적 성격이 짙었습니다. 예로 메소포타미아의 배락 신화와 이집트의 천문학이 대표 적으며, 이들 문화에서는 천체들과 우주를 신성시하고, 천체의 우행을 예언과 예측에 활용하는 주술적인 성격을 보이.. 2023. 6. 22.
우주 (宇宙, Universe) 에 대하여 - 행성과 태양계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은 우리가 지금까지도 정확히 판단 할수 없었고, 앞으로도 모두 판단한다는것은 어려운일입니다. 하지만 거시적으로 우리가 직접 관측하여 확인할수 있는 것들이있습니다. 바로 행성과 그 행성들의 집합으로 형성된 시스템인 태양계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행성과 태양계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행성이란 ? 2. 행성의 형성 3. 태양계 1. 행성이란 ? *행성* 다닐 행 (行)에 별성 (星) 자가 쓰이며,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며, 빛을 내는 항성이나 항성 잔유물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천체를 말합니다. 2. 행성의 형성 행성은 항성(ex. 태양)이나 항성의 잔해를 중심으로 공전 운동하는 크고 둥근 천체입니다. 행성의 형성은 주로 성운 가설에 근거하며, 이 가설은 성운이 붕괴되어 원시 행성.. 2023. 6. 21.
우주에 대하여 - Big bang 이론과 우주의 구조 우주란? *우주* 집우(宇)에 (집, 지붕, 처마) 집주(宙) 자를 쓰는 말로, 두 단어가 합쳐져 무한한 시간, 만물을 포함한 끝없는 공간을 일컫습니다. 이 우주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와 관측을 통해 "별, 은하 및 다른 형태의 물질과 에너지로 구성된 모든 공간이며, 이는 시간 또한 포괄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목차* 1. Big Bang 이론용 2. 우주의 구조와 구성 1. Big Bang 이론 현재 우주론적 이론으로는 'Big Bang' 이론이 지배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약 13 억년 전에 공간과 시간이 동시에 탄생했으며, 이후 우주는 계속해서 팽창해 왔다는 이론입니다. 전체 우주의 크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현재로서는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직경은 약 930억 광년으로 측정되고 있.. 2023. 6. 16.